| 휴일 아침, 토닥토닥 가을비가 내렸습니다.
 '오늘은 뒷산 오르기도 틀렸네.'
 아름다운 가을을 만끽하지 못해 섭섭한 마음이었습니다.
 
 언제나 그렇듯 새벽같이 눈이 뜨입니다.
 맑은 도마소리를 내며 가족을 생각하며 만드는 이 시간만큼은 즐거움입니다.
 
 사실, 11월 14일이 아들 생일입니다.
 그런데 혼자 세월을 다 먹어버렸는지 오늘이라고 착각을 해 버렸던 것.
 "내일 동생 생일인데 선물 준비 안 해?"
 "엄마는! 14일이야. 아직 일주일이나 남았구만"
 "그러네."
 사다 놓은 재료 그냥 먹어야 할 것 같아 밑반찬 뚝딱 만들어 보았습니다.
 
 
 
 
 
 
 
 1. 쇠고기 우엉조림
 ▶ 재료 : 우엉 100g, 쇠고기 100g, 진간장 3숟가락, 물엿 2숟가락, 물 3숟가락, 미향 2숟가락,
 붉은 고추 1개, 청양초 2개, 마늘 약간
 
 ▶ 만드는 순서
 
 ㉠ 우엉은 편을 썰어 식초물에 삶아둔다.
 ㉡ 쇠고기는 간장 마늘 미향을 넣고 재워둔다.
 ㉢ 우엉을 먼저 넣고 졸이다가 쇠고기를 넣어준다.
 ㉣ 고기가 익으면 썰어둔 붉은 고추와 청양초를 넣고 마무리한다.
 
 
 
 
 2. 삼치조림
 ▶ 재료 : 삼치 살 200g, 진간장 4숟가락, 물엿 2숟가락, 물 3숟가락, 미향 2숟가락,
 붉은 고추 1개, 청양초 2개, 마늘 대파 약간
 
 
 ▶ 만드는 순서
 
 ㉠ 삼치는 먹기 좋은 크기로 썰어둔다.
 ㉡ 붉은 고추, 청양초, 대파도 먹기 좋은 크기로 썰어둔다.
 ㉢ 삼치와 양념을 넣고 자작하게 졸여준다.
 ㉣ 삼치가 익으면 썰어둔 채소를 넣고 마무리한다.
 
 
 
 3. 어묵 고추장조림
 ▶ 재료 : 사각어묵 3장, 떡 50g, 고추장 1숟가락, 물엿 2숟가락, 멸치 다시물 5숟가락, 마늘 대파 약간
 
 
 ▶ 만드는 순서
 
 ㉠ 어묵은 끓는 물에 살짝 데쳐 먹기 좋은 크기로 썰어둔다.
 ㉡ 어묵을 먼저 볶아주고 양념을 넣어주면 퍼진 느낌이 없어진다.
 ㉢ 어묵과 꽈배기 떡을 넣고 자작하게 볶아주면 완성된다.
 
 
 
 
 4. 숙주맛살무침
 ▶ 재료 : 숙주 1봉(270g) 맛살 2줄, 간장 2숟가락, 깨소금, 참기름 약간
 
 ▶ 만드는 순서
 
 ㉠ 숙주는 깨끗하게 씻어 삶아낸다.
 ㉡ 삶아낸 숙주에 양념을 넣고 조물조물 무쳐주면 완성된다.
 
 
 
 5. 건새우 햄볶음
 ▶ 재료 : 건새우 50g, 마늘 햄 150g, 청양초 2개, 진간장 2숟가락, 물엿 2숟가락,
 멸치 다시물 5숟가락, 마늘 당근 약간
 
 ▶ 만드는 순서
 
 ㉠ 햄은 끓는 물에 살짝 데쳐내 먹기 좋은 크기로 썬다.
 ㉡ 당근, 청양초도 보기 좋게 썰어둔다.
 ㉢ 새우와 햄을 넣고 각종 양념에 볶아준다.
 ㉣ 맛이 들면 썰어둔 당근과 청양초를 넣고 마무리한다.
 
 
 
 6. 새송이버섯 초무침
 ▶ 재료 : 새송이버섯 5개, 현미식초 3숟가락, 청양초 2개, 고추장 1숟가락, 깨소금, 소금, 마늘 약간
 
 ▶ 만드는 순서
 
 ㉠ 새송이는 채를 썰어 프라이팬에 기름을 두르지 않고 살짝 볶아준다.
 ㉡ 볶은 새송이에 양념을 넣고 조물조물 무쳐주면 완성된다.
 
 
 
 
 
 7. 무생채
 ▶ 재료 : 무 100g, 현미식초 2숟가락, 고추가루 1숟가락, 대파, 깨소금, 소금, 마늘 약간
 
 ▶ 만드는 순서
 
 ㉠ 무와 대파는 곱게 채를 썰어 둔다.
 ㉡ 썰어둔 재료에 양념을 넣고 조물조물 무쳐주면 완성된다.
 
 
 
 
 8. 멸치 건홍합조림
 ▶ 재료 : 멸치 50g, 건홍합 100g, 청양초 2개, 붉은 고추 1개
 진간장 2숟가락, 물엿 2숟가락, 멸치 다시물 4숟가락, 깨소금, 마늘 약간
 
 ▶ 만드는 순서
 
 ㉠ 멸치는 이물질을 제거하고 홍합은 물에 불러둔다.
 ㉡ 먼저 프라이팬에 멸치를 볶아준다.(비린내 제거)
 ㉢ 멸치를 볶다가 홍합과 양념을 넣고 조려준다.
 ㉣ 마지막에 썰어 둔 붉은 고추와 청양초를 넣어 마무리한다.
 
 
 
 
 9. 명란젓무침
 ▶ 재료 : 명란젓 150g, 붉은 고추 1개, 청양초 2개,  깨소금, 마늘 약간
 
 ▶ 만드는 순서
 
 ㉠ 붉은 고추와 청양초는 먹기 좋은 크기로 썰어둔다.
 ㉡ 명란젓에 버무리기만 하면 완성된다.
 처음부터 짜지 않은 것으로 구입한다.
 
 
 
 10. 돼지고기 수육, 삼색 두부
 ▶ 재료 : 돼지고기 600g, 삼색 두부 각 1모, 무절임
 
 ▶ 만드는 순서
 
 ㉠ 돼지고기는 물(굵은소금 대파 약간)이 끓을 때 넣어준다.
 ㉡ 젓가락으로 익은 상태를 확인하고 먹기 좋은 크기로 썰어주면 완성된다.
 
 
 ㉢ 두부도 먹기 좋은 크기로 썰어둔다.
 ㉣ 무절임과 함께 싸 먹는다.
 
 묵은지와 함께 먹어도 맛있습니다.
 
 
 
 
 11. 닭 묵은지 조림
 ▶ 재료 : 닭고기 1마리, 묵은지 1/4쪽
 
 ▶ 만드는 순서
 
 ㉠ 닭은 깨끗하게 씻어 손질해 둔다.
 ㉡ 묵은지는 꼬랑지만 잘라준다.
 ㉢ 닭과 묵은지를 냄비에 담고 잠길만큼 물을 부어준다.
 ㉣ 맛이 들도록 졸여주면 완성된다.
 
 
 
 
 12. 우거지들깨국
 ▶ 재료 : 우거지 100g, 들깨가루 2숟가락, 멸치 육수 3컵, 된장 1숟가락, 청양초 2개, 붉은 고추 1개,
 
 ▶ 만드는 순서
 
 ㉠ 멸치육수를 내주고 우거지는 된장에 조물조물 무쳐둔다.
 ㉡ 붉은 고추와 청양초는 먹기 좋은 크기로 썰어둔다.
 ㉢ 육수가 끓으면 우거지를 넣고 들깨가루를 풀어준다.
 ㉣ 마지막에 썰어둔 고추를 넣으면 완성된다.
 
 
 
 ▶ 휴일 아침 식탁
   
 ▶ 휴일 저녁 식탁
 
 어제는 가족의 찬사를 들었습니다.
 "역시! 우리 마누라 음식 솜씨는 최고야!"
 "맞아! 우리 엄마 짱!"
 "잘 먹었습니다."
 식탁에서 일어서면서 하는 말이었습니다.
 표현 잘 하지 않는 무뚝뚝한 남편인데 말입니다.
 
 밑반찬 몇 개만 해 두면 요렇게 메인 요리와 국물만 살짝 바꿔주면 훌륭한 식탁이 됩니다.
 
 이런 맛에 요리를 하는 것 아닐까 생각해 봅니다.
 고슴도치 엄마였습니다.
 
 어제는 글쓰기가 되지 않아 인제야 겨우 글을 올립니다.
 
 즐거운 한 주 되세요.^^
 
 
 |